13.59.205.74
IP user
최근 변경
목차
최근 변경
최근 토론
메뉴
설정
라이트 테마로
다크 테마로
내 문서 기여 목록
내 토론 기여 목록
내 편집 요청 목록
로그인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이동
삭제
역사
ACL
이동
삭제
역사
ACL
강릉 버스 300
(r8 문단 편집)
[오류!]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우회 수단 #1177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IP 위치: AT, [AS16509] - [Amazon.com, Inc.] 우회 수단 IP | 로그인 후 활동하시길 바랍니다.
RAW 편집
== 특징 == * 강릉시내와 [[주문진읍|주문진]]을 이어주는 대표적인 노선이다. 이제는 사천/연곡에서 산간마을로 빠지는 지선들이 모두 없어지면서 동해대로를 가로지르는 노선은 300, 302, 314, 315번만 남았다. * 강릉시 뿐만 아니라 강원특별자치도 내 시내·농어촌버스 노선들 중 가장 많은 운행횟수, 짧은 배차간격[* 근로시간단축 여파로 인한 운행횟수 변경 전 기준으로 이 노선이 편도 140회로 1등, 2등은 [[속초 버스 9|속초 9, 9-1번]](편도 104회), 3등은 [[원주 버스 2|원주 2, 2-1번]](편도 99.5회)이다.][* 근로시간 단축으로 인한 노선 조정 이후에도 평일기준 이 노선이 일 91회로 1등, [[원주 버스 2|원주 2, 2-1번]]이 일 71.5회로 2등이다. [[속초 버스 9|속초 9, 9-1번]]는 일 59회로 대폭 감차되었다.]을 자랑하는 노선이기도 하다. 수도권이나 광역시를 제외한 전국을 따져도 상당히 많은 편이다. 옛날에도 안목-주문진 노선은 10분, 공단-주문진 노선은 10분으로 굴려왔으며, 승객을 가장 많이 태우는 포남교 이후부터는 두 노선이 합쳐져 5분 이내 간격으로 시도때도 없이 [[빗자루질(교통)|빗자루질]]을 하고 있다. 수요가 넘쳐나, 종종 2~3대씩 몰려오는 경우도 있었다. 현재는 20분 간격으로 운행중이어서 과거에 비하면 명성이 죽었다. * 강릉시내와 주문진읍을 잇는 경로로 [[7번 국도]]를 쭉 완주하는 곧은 선형이기에 빠르게 오갈 수 있어서 이용객이 매우 많다. * 원래는 공단출발과 안목출발을 합쳐 평일기준 상행 115회, 하행 113회 운행했지만 2017년 11월 13일부터 더욱 늘어난 평일 상, 하행 각각 140회로 증차됐다. 이용객이 많아 증차는 했지만 운전기사의 휴식시간 보장을 위해 막차시간이 많이 단축되었는데, 주문진발 차량은 22시에 끊긴다. * 300번은 다른 주문진 노선과 다르게 [[강릉고속버스터미널]], [[강릉시외버스터미널]]을 경유하지 않으므로 교보생명 정류장이나 하나금융투자 정류장에서의 환승을 권장한다.[* 주문진 노선중에는 300번을 제외한 나머지 302, 314, 315번이 시외고속터미널을 경유하지만 해당 노선들의 배차간격을 모두 합쳐도 300번에 비해 배차간격이 좋지 못하다.] 그리고 주문진 방향은 강릉소방서와 [[강릉역]]을 경유하고 공단, 안목 방향은 강릉여고를 경유하니 주의해야한다. * 300번은 동해상사와 동진버스 차량이 나뉘는데 운수사에 따라 기점이 달라도 주문진방면의 경우 전산상으로는 똑같이 번호가 300번이기 때문에 상호간의 환승할인이 불가능하다. 단 300번(주문진 방면)과 300-1(안목 방면), 300-2(공단 방면) 세 노선은 서로 환승할인이 가능하다. 전산 상으로는 다른 노선이기 때문이다. * 양방향 첫·막차 시간 준수를 위해 공차회송이 이뤄진다.
im preview
닫기
사용자 문서
문서 기여 내역
토론 기여 내역
(없음)
×
설정
위키
토론
스킨
테마
자동 (시스템 설정)
라이트
다크
표 워드랩 사용 안 함
사용
문단을 기본으로 접기
사용
접기 문법을 기본으로 펼치기
사용
취소선
보이기
취소선 제거
숨기기
각주 표시 형식
브라우저 기본
팝오버
팝업
기본 편집 모드
편집기
RAW 편집
상대 시간 표시를 사용하지 않음
사용
취소선
보이기
속성 제거
숨기기
굵음
보이기
속성 제거
숨기기
항상 메뉴 제목 표시
사용
항상 도구 제목 표시
사용